명지대학교 빅데이터 연구소에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단과대학 | 학부(과) | 교과목명 | 의무 이수학점 |
비고 |
---|---|---|---|---|
인문 | 문헌정보학과 |
한국문화와문자생활(3), 영어의이해(3), 역사란무엇인가(3), 인문콘텐츠의이해(3),
지식정보활용(3), 인문데이터의이해(3), 중국의언어와문화(3), 일본의언어와문화(3), 아랍의언어와문화(3), 창조적상상력과인간(3) 철학산책(3), 테마로이해하는중국(3), 문학과철학(3), 영어와영미문화(3)(폐지), 전통과현대의시각문화(3)(폐지) |
6 | 영어의이해 (2022-1부터추가) |
사회과학 | 전학과 |
행정학개론(3), 경제학원론(3), 대중문화와매스컴(3), 결혼과가족(3), 청소년지도학(3), 사회복지개론(3), 유라시아의이해(3), 현대한국정치의쟁점(3), 놀이혁명과창의성 (3), 한국정치의이해(3), 국제정치의이해(3), 현대사회와정보(3), 경제학들어가기(3), 직무커뮤니케이션능력개발(3), 인터넷 과커뮤니케이션(3), 인간관계와커뮤니케이션(3), 미시경제학원 론(3), 거시경제학원론(3), 배려의행복학(3) |
밑줄 친 새롭게 추가된 교과목은 2023학년도 1학기 이후 이수한 교과목부터 인정 | |
법학과 |
시장경제와법(3), 지적재산과현대사회(3), 직업생활과법(3), 생활법률(3), 법률문장론(3), 공무원과법(3), 법과제도(3) |
|||
미디어·휴먼라이프 | 전학과 |
행정학개론(3), 경제학원론(3), 대중문화와매스컴(3), 결혼과가족(3), 청소년지도학(3), 사회복지개론(3), 유라시아의이해(3), 현대한국정치의쟁점(3), 놀이혁명과창의성(3), 한국정치의이해(3), 국제정치의이해(3), 현대사회와정보 (3), 경제학들어가기(3), 직무커뮤니케이션능력개발(3), 인터넷 과커뮤니케이션(3), 인간관계와커뮤니케이션(3), 미시경제학원론(3), 거시경제학원론(3), 배려의행복학(3) |
밑줄 친 새롭게 추가된 교과목은 2023학년도 1학기 이후 이수한 교과목부터 인정 | |
계 | 6 |
단과대학 | 학부(과) | 교과목명 | 의무 이수학점 |
비고 |
---|---|---|---|---|
ICT융합 | 전학부 (과) | ICT비즈니스와 경영(3), 융합공학입문설계(3), 저작권과 소프트웨어(3), 컴퓨터논리의 이해(3), 디자인개론(3), 마케팅과 ICT융합기술(3), 창업경영(2), 통계학개론(3), 선형대수학개론(3), |
3 | 3학점 의무 이수 |
계 | 3 |
주1) ‘가.학문기초교양(본인 소속 학과 교양)’의 과목의 경우 주전공 학문기초교양과 중복인정됨. 단, ICT 학문기초교양 중 3학점 필수 이수.
주2) ICT 학문기초교양 중 상기 지정된 과목에 한함.
주3) 해당 과목 폐지 이전에 수강한 학생은 수강 인정됨.
주4) 참여학과 외 융합전공생들도 본인 주전공의 학문기초교양과 최대 6학점까지 중복인정. 단 ICT 학문기초교양 중 3학점 필수 이수.
구분 | 전공 교과목 | 비고 | |
---|---|---|---|
교육과정 참여학과 (전공, 학부) |
경제학전공 | 경제통계, 시장및기업이론, 국민경제론, 경제수학, 계량경제학, 화폐와금융, 금융시장과데이터분석, 경제빅데이터분석, 응용계량경제학 | 소속 학과가 제시한 교과목 및 ICT가 제시한 교과목 합하여 36학점 의무 이수 이 중 소속 학과 교과목은 최대 21학점까지 소속 학과 전공 이수한 것으로 중복 인정 |
정치외교학전공 | 정치학방법론, 비교정치론, 국제정치론, 정치학개론, 유럽연합정치학입문, 외교정책론, 정치과정론, 정치심리학, 의회정치론, 소수자정치론, 국제분쟁의이해 | ||
행정학전공 | 사회조사방법론I, 정책학원론, 정부예산의 이해, 사회복지조사론, 정책분석및평가, 전자정부론, 사회조사방법론Ⅱ, 기획론, 공기업론 | ||
법학과 | 빅데이터와법, 경제법, 법논리학1, 공직선거법, 민법총칙, 형법총론1, 헌법1, 채권총론, 상법총칙, 물권법, 행정법1 | ||
문헌정보학전공 | 데이터프로그래밍기초, 텍스트코딩의기초, 정보검색론, 정보시스템구축론, 데이터베이스시스템, 데이터리터러시, 네트워크분석, 정보이용과이용자, 정보학입문, 텍스트마이닝 | ||
디지털미디어학부 | 미디어조사방법론, 미디어산업론, 데이터저널리즘, 미디어의이해, 텔레비전연구, 뉴미디어이론, 인간컴퓨터상호작용입문, 영화커뮤니케이션, 글로벌커뮤니케이션, 뉴미디어저널리즘, 디지털시대의미디어리터러시, 디지털광고, PR원론 | ||
아동학전공 |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유아교육과정, 놀이지도, 아동복지론, 아동수학지도, 보육교사론, 정신건강 | ||
청소년지도학전공 | 청소년지도방법론, 청소년심리및상담, 청소년문화, 청소년활동, 청소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청소년문제와보호, 심리검사 | ||
"참여학과 외 (융합전공학부생만 해당)" |
참여학과 외 소속 학생은 상기 참여학과 중 하나의 학과를 정하고, 그 학과 소속인 것처럼 이수하여야 함 | ||
교과목 제공학과 |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 | [1학기] 융합데이터사이언스개론, 융합기초프로그래밍, 빅데이터기술특론1, 융합데이터시각화, 융합캡스톤디자인(선택) | |
[2학기] 융합머신러닝, 융합데이터베이스 |
주1) 학사 안내문을 기준으로 작성. 변경 내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학사 안내문 참고.
주2) 융합전공 필수과목은 총 5과목으로 (융합데이터사이언스개론, 융합기초프로그래밍, 융합머신러닝, 융합데이터베이스, 융합데이터시각화 or 빅데이터기술특론1)을 수강해야함.
응데사 융합 전공 참여 학과: 사회과학대학(경제학전공, 정치외교학전공, 행정학전공, 법학과),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디지털미디어학부. 아동학전공, 청소년지도학전공), 인문대학 인문콘텐츠학부 문헌정보학 전공
응데사 융합 전공 신청 가능 학과: 사회과학대학,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 인문대학 인문콘텐츠학부 문헌정보학 전공, 융합전공학부
사회과학대학,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 인문대학 인문콘텐츠학부 문헌정보학 전공: 응데사 융합 전공을 위한 소속 학과의 제시 교과목 및 ICT 제시 교과목 합하여 36학점 의무 이수, 이 중 소속 학과 교과목 이수 분은 최대 21학점까지 그 학과 전공 이수한 것으로도 중복 인정
사회과학대학,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 인문대학 인문콘텐츠학부 문헌정보학 전공 외의 학과나 학부: 참여학과 중 1개 학과를 정하여 그 학과 소속 학생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수
응데사 융합 전공을 위한 본인 소속 학과 학문 기초 교양은 소속 학과의 학문 기초 교양 필수 교과목 이수시 자동 이수, 단 ICT 교양 학문 기초 교양에서 반드시 3학점 이수
응데사 융합 전공자는 소속 학과(부)의 전공 교과 이수 학점(참여학과 제시 융합 전공 교과 이수 학점 포함)과 ICT 제시 융합 전공 교과 이수학점의 합이 소속 학과(부)의 최소 전공 교과 졸업 이수학점 이상이 되어야 함
경영대학 소속 학생이 응데서 융합 전공을 이수할 경우 소속 학과 전공을 45학점 이상 이수해야 함